728x90
반응형
SMALL

이론정리 및 문제풀이/방사선관리기술사 기출문제 39

2012년도 3교시 1번(정확도, 정밀도, 반복성, 재현성 관련)

1. (측정)정확도 측정값과 측정량의 참값이 일치하는 정도 Note1) 정확도의 개념은 양이 아니고 수치로 나타낼 수 없음. 어떤 측정이 더 작은 측정오차를 제공할 때 그 측정이 정확하다고 말함. Note2) 정확도란 용어는 측정진도로 사용될 수 없음. 정밀도라는 용어는 정확도로 사용될 수 없음. 그러나 정확도는 이들 두 개념과 관련 있음. Note3) 정확도는 때때로 측적량에 대한 측정값들이 일치하는 정도 2. (측정)정밀도 명시된 조건 하에서, 같거나 비슷한 대상에 대해서 반복 측정하여 얻어진 지시값들 또는 측정값들이 일치하는 정도 Note1) 정밀도는 보통 명시된 측정조건 하에서 표준편차, 분산, 변동계수와 같은 비정밀 척도에 의해 수치적으로 표현 가능 Note2) '명시된 조건'이란, 예를 들면 ..

2019년도 1교시 3번

가. 계통오차(Systemic measurement error) : - 무작위 오차 외에 측정기의 교정 편차나 측정자의 관측오차, 측정환경의 간섭 등으로 발생하는 오차. - 측정시스템 고유의 것이므로 일반적으로 논의하기 어렵고 해당 경우마다 주어진 조건에 따라 평가해야 함. - 반) 확률오차: 자연의 무작위성에 의한 것이므로 통계적 모델에 의해 평가의 일반화 가능. 나. 측정소급성(Metrological traceability) - property of a measurement result whereby the result can be related to a reference through a documented unbroken chain of calibrations, each contributing t..

방사선관리기술사 2023년도 1교시 9번 기출문제 풀이 및 정답

해설)국내 배기 중의 배출관리기준 (Bq·m^-3)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정되었는데, 이는 방사성핵종을 함유한 기체가 환경으로 배출될 경우 원전 인근에 일반인이 이를 흡입하여 피폭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 배기 중 배출관리기준 산출 수식을 아래 식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식에서 20은 일반인과 작업자의 선량한도 차이 (1/20)를 고려한 값이며, 3은 일반인과 방사선작업종사자의 호흡률 및 활동시간 (피폭기간)의 차이 (1/3)를 고려한 값이다. 즉 방사선작업종사자는 연간 2,000시간 동안 오염된 공기를 흡입한다고 가정하지만, 일반인은 8,760시간 오염된 공기를 흡입한다고 가정하였으며, 방사선작업종사자의 호흡률 (1.2 m3·h-1)보다 일반인의 호흡률 (0.8 m3·h-1)이 작은 것을 고려하였다...

2013년도 1교시 2번

2. 다음 용어를 설명하시오. 가. 재부유인자(resuspension factor) - 유체에 의해 표면에서 입자가 부유하고 재현탁되는 현상은 자연에서 흔히 발생하는 현상임. (예) 폭풍, 토양 침식, 오염된 토양의 확산 - 오염물질이 땅에 쌓이면 먼지 입자에 달라붙어 바람에 의해 부유하게 됨. 부유입자는 다시 땅에 쌓이고, 이러한 오염물질의 재활용은 오염을 장기적인 문제로 만들게 됨. - 여기서 말하는 느슨한 오염은 유리성 오염, 고정형은 고착성 오염으로 간주함. 재현탁계수는 재부유계수다. 인력 및/또는 장비의 오염은 정상적인 작동이나 보호 조치의 실패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오염의 정확한 정량적 정의는 제공될 수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오염은 바람직하지 않은 방사능의 ..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