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정리 및 문제풀이/방사선관리기술사 기출문제

[방사선관리기술사] 2018년도 3교시 1번

RPE1 2025. 2. 23. 20:26
728x90
반응형
SMALL


주어진 조건 정리

  • 방사성 핵종: Ar-41
  • 반감기: T(1/2)= 1.83시간
  • 공기 유량: 3L/분
  • 샘플링 시간: 1시간 
  • 샘플링 후 측정 전까지 경과 시간: 30분
  • 측정 시간: 30분
  • 총 계수값: 5000 counts
  • 검출기 효율: 10% (즉, 측정된 계수는 실제 존재하는 방사능의 10%)

1. 붕괴 상수(λ) 계산

방사성 붕괴 상수 λ 는 반감기를 이용하여 계산됩니다.


2. 샘플링된 공기 부피 계산

공기 유량이 3L/ 3L/분이고, 1시간 동안 샘플링했으므로 샘플링된 총 공기 부피는


3. 측정 시작 시점에서의 방사능 보정

샘플링이 끝난 후, 측정을 시작하기까지 **30분(0.5시간)**이 경과했습니다. 이 동안 방사성 핵종이 붕괴했으므로, 샘플링 종료 시점에서의 방사능을 보정해야 합니다.
방사성 붕괴 공식:


4. 측정된 총 계수값에서 실제 방사능 구하기

순 계수값이 5000 counts이고, 측정기는 10%의 효율을 가지므로 실제 측정된 방사능은

이를 **Bq(베크렐)**로 변환하면,


5. 샘플링 종료 시점에서의 방사능 계산

측정 시작 시점의 방사능을 이용하여 샘플링 종료 시점의 방사능을 구하면,


6. 공기 중 Ar-41의 농도 계산

샘플링된 공기 부피가 180L이므로, 공기 중의 방사능 농도는


최종 답변

공기 중 Ar-41의 농도는 0.187 Bq/L (소수점 셋째 자리 반올림)입니다.
 


다른 풀이로도 풀어볼까요?

다른 풀이로 3가지 정도로 풀어보려고 합니다.


 

1. 적분을 이용한 풀이

(1) 붕괴 상수(λ) 계산

반감기에서 붕괴 상수 λ\lambda를 구합니다.


(2) 적분 공식 적용

계수값 5000 counts는 30분 동안(0.5시간)의 전체 붕괴된 방사능의 적분값에 해당합니다. 방사능의 시간에 따른 변화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를 풀면,

여기서,

이를 정리하면:

수치를 대입하면:


(3) 실제 방사능 (Bq)으로 변환

검출기 효율이 10%이므로, 실제 방사능은


(4) 공기 중 농도 계산

샘플링된 공기 부피는

최종 답: 736.4 Bq/L


2. 평균 방사능 개념을 이용한 풀이

(1) 평균 계수율 계산

30분 동안 총 5000 counts가 측정되었으므로 평균 계수율은

이를 Bq로 변환하면,


(2) 샘플링 종료 시점에서의 방사능 역산

평균 방사능이 실제 붕괴 곡선에서 중앙값에 해당하는 순간의 방사능과 비슷하다고 가정하고, 평균 시점을 tmid = 0.25시간으로 설정하여 방사능 역산:


(3) 공기 중 농도 계산

최종 답: 0.017 Bq/L (오차 있음)


3. 연속 계수율 모델 적용

(1) 계수율의 변화 모델 적용

초기 계수율을 R0R_0, 최종 계수율을 RfR_f로 하면,

주어진 조건을 대입하여 R0을 구한 후, 이를 방사능으로 변환한 뒤 공기 중 농도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접근합니다.
(이 방식은 적분 방식과 유사한 값이 나올 것이므로, 풀이는 생략합니다.)


결론

  • 적분 방식: 736.4 Bq/L
  • 평균값 근사: 0.017 Bq/L (오차 발생)
  • 연속 계수율 모델: (적분 방식과 유사한 결과 예상)

가장 정확한 방법은 "적분을 이용한 풀이"이며, 최종 답은 약 736.4 Bq/L이다.
 


마지막 풀이는 적분법 2번째 버전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